언제까지 노인 기준 65세 고집할 것인가…이분법적 연령주의 철폐 시급

[시니어신문=장한형 기자] UN은 한 나라 전체 인구 5명 중 1명 이상이 65세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로 분류한다초고령사회가 된 나라들은 노인인구집단을 사회문제’ 어젠다에 올린다우리나라 정부도 고령화 관련 정책을 낼 때마다 인구절벽’, ‘인구지진’, ‘지역소멸과 같은 자극적이고 절망적인 용어를 서슴없이 꺼내 든다.

말 만들기 좋아하는 일본에서는 한 사회운동가가 하류(下流)노인이란 개념으로 대박을 냈다. 2015년의 일이다그의 신조어 하류노인은 노인정책 관련 일본베끼기를 좋아하는 우리나라에 신속하게 전파됐다독자의 공포심에 기생하는 언론은 아무런 문제의식 없이 우리나라에도 하류노인의 시대가 온다며 대서특필했다보험사들과 연계된 한 단체는 신조어를 만든 장본인을 국내로 초청해 토크 콘서트까지 열었다결론은 어이없게도 보험에 들라는 얘기였다.

이 모든 부산한 행위들의 근본에는 노인에 대한 전근대적 인식이 자리하고 있다. ‘일은 못하는데 부양해야 일 노인인구가 많으니 큰일 났다는 식이다그리고매우 단선적인 등식으로 귀결된다노인인구=부양인구=청년부담=세금인상=경제위기=국가소멸실제로 이 등식에 삽입된 키워드들은 현재 논의되는 고령화 정책의 골격이다노인이 늘어나면 나라가 없어진다그렇다 치자대안은 있는가?

노인을 문제로 인식하는 한국사회 셈법

우리나라 노인부양정책의 대표주자는 기초연금제도다. 65세 이상 노인 가운데 소득하위 70%에 포함되면 월 최대 30만원을 지급한다국민연금을 받지 못하는 노인들의 노후생활을 지원한다는 취지다기초연금 예산으로 올해 15조 원이 편성됐다.

기초연금 예산 15조 원을 비롯해 노인일자리사업 예산 13000억 원혼자 일상생활이 어려운 노인을 지원하는 노인장기요양보험 예산 17000억 원 등 전체 노인복지예산은 188000억 원에 달한다누가 주든 이 예산의 원천은 국민세금이다.

알기 쉽게 따져보자. 2019년 기준 임금근로자 평균연봉은 3700만 원산술적으로 올해 노인복지예산 188000억 원은 508000명의 연봉과 같은 액수다전체 임금근로자가 2055만 명이니월급쟁이 10명 중 4명의 1년 치 몫이다.

설상가상이른바 베이비붐세대(1955~1963년생)의 고령화로 해마다 노인인구는 20~40만 명씩 늘어난다그런데통계청 장래인구추계를 보면생산가능인구(15~64)는 2017년 3757만명을 정점으로 계속 감소해 2067년 1784만 명까지 절반 이하로 쪼그라든다이 같은 추세라면 대략 월급쟁이 10명 중 8명의 몫이 노인복지예산으로 떨어져 나간다나라가 없어질 만도 하다이것이 노인을 문제로 인식하는 사람들아니 한국사회의 셈법이다.

이 문제의 셈법은 분명 이분법이다기준은 65칼로 무 베듯그 이하는 생산가능연령그 이상은 부양대상(노인)이다생산가능연령이 노인을 부양하는 매우 기계적이고 단편적인 구조다아무리 건강하고 일할 의욕이 넘쳐도 65세가 되면 본인 의사와 상관없이 부양대상으로 잘려나간다그리고 문제 그룹의 일원이 된다심지어 55세 이상이면 고령자그래서 60세가 되면 직장에서 나가라고 법으로 못 박았다그리고 65세부터 무 절일 때 소금 뿌리듯 세금을 쏟아붓기 시작한다. ‘문제를 부양해야 하니까.

이 이분법적 구조는 상당히 견고하다우리나라 노인복지 현장을 대표하는 경로당과 노인복지관두 곳 모두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을 받는다역시 부양대상이다이곳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나이는 경로당 65세 이상노인복지관 60세 이상으로 분류돼 있다법적으로는 노인여가복지시설이란 아름다운 명칭을 갖고 있다그러나얄밉게 해석하면 65세 언저리에 도달해 노동시장에서 쫓겨난 사람들을 떠안아 소일거리를 제공하는 공식적인 피난처즐길거리마저 빈약하다오죽하면 또 돈을 들여 경로당 활성화 사업을 해야 할까받아들이기 불편한 현실이다.

세대갈등 부추기는 나이’ 편가르기

65세 기준생산과 부양의 대상으로 국민을 나누는 이분법적 셈법은 심각한 세대갈등을 일으킨다.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일자리 세대갈등이 그 정점에 있다생계를 위해 경제활동에 나서는 고령자들이 급증하면서 청년일자리를 빼앗는다는 논쟁이다. 50대 중반부터 연차적으로 임금을 줄이고 대신 정년을 늘리는 임금피크제마저 청년고용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지목된다.

최근 현대자동차 임금단체협약에서 벌어진 정년연장 논란이 대표적이다현대차 노조 측은 60세 정년을 65세로 늘려달라고 강하게 요구했지만사내 MZ세대(1980~2000년생직원들의 반대에 부딪혀 없던 일로 마무리됐다.

노년세대와 청년세대에 적합한 일의 종류가 근본적으로 달라 일자리 세대갈등은 없다는 주장과노년세대가 노동시장에 머무는 기간이 길수록 필연적으로 청년세대의 일자리가 줄어든다는 주장이 팽팽히 맞서는 상황이다.

더 내고 덜 받는’ 방향으로 가고 있는 국민연금에도 세대갈등이 내재한다젊은세대는 내가 낸 연금보험료가 노년세대에 돌아가는 것을 원치 않는다월급의 9%를 꼬박꼬박 국민연금보험료로 납부하고도 정작 자신의 노후에 연금을 받을 수 있을지도 걱정거리다미운털이 박힐 수밖에 없는 노년세대다가뜩이나 저출산 고령화로 청년세대가 줄어드는 상황에서 연금으로 인한 세대갈등은 곧 폭발해도 이상하지 않은 폭탄이다.

숨겨진 갈등요인은 또 있다아파트로 상징되는 부동산이다최근 미친 듯이 오르는 아파트값을 바라보는 청년세대는 집 한 채 없는 형편이 불안하고재테크에서 멀어질까 초조하다그래서 영끌해서라도 집을 사려 한다그런데 집주인 대부분은 50~60대 이상 노년세대다젊은세대의 소득 상당 부분이 집을 매개로 노년세대로 이전되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젊은세대 위에서 군림하고 가르치려는 노년세대는 꼰대로 전락한다말끝마다 나 때는 말이야~”를 강조하는 노년세대를 두고젊은세대는 라떼 이즈 홀스’(Latte is Horse)라는 기막힌 풍자를 만들어 냈다. ‘지공’(지하철 공짜로 타는 노인), ‘노틀’(늙은 남자), ‘틀딱’(틀니를 한 노인)과 같은 비속어를 쓰면서 키득거린다. ‘나이가 들면 병약하고 쓸모없는 존재가 된다는 부정적 인식이 확대재생산되는 구조를 방치하면서 젊은세대의 피해의식만 탓할 수 있겠는가.

나이로 사람 가르는 이분법’ 없앨 수 없는가

전문가들은 최고의 복지는 일자리라고 입을 모은다나이 들어서도 일과 소득을 갖게 되면 자립생활이 가능하다당사자들도 열렬히 일을 원한다생계를 위해 어쩔 수 없이 73세까지 일해야 하는 현실도 무시 못 한다하지만세금으로 만든 허드렛일을 하고 월 27만 원 받는 일자리는아무리 생각해도 아니다기초연금(30만 원)까지 합쳐도 월 57만원올해 1인가구 최저생계비(731132)도 안 된다언제 없어질지도 모르고선발되기는 더더욱 어렵다.

게다가, 65세 이상은 부양대상이니이들의 일자리 정책은 고용노동부가 아니라 보건복지부가 맡아야 하는 행정도 어처구니가 없다. 65세 이상 노인은 노동자가 아니라 복지시혜의 대상이므로노동권의 주체가 될 수 없으며 주는 대로 받아야 하는 무기력한 수혜자일 뿐이다국가가 합법적으로 나이든 국민의 권리와 자존감을 짓밟고 깔아뭉개고 있다이뿐인가장애인은 65세가 되면 장애인으로서의 권리를 박탈당하며보육원 아이들은 18세가 되면 쫓겨나고청년창업은 40세부터 지원받지 못한다.

우선 이분법적 구분을 없애야 한다. 1950년대 UN이 만든 65세는 기준이 될 수 없다건강한 사람과 건강하지 않은 사람소득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일하고 싶은 사람과 일하고 싶지 않은 사람동거가족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정책과 사안마다 기준을 달리하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정책대상자를 선별해야 한다국민 개개인의 병원진료금융정보까지 손바닥 보듯 훤히 들여다보는 시스템을 갖추고도 불가능하다는 공무원이 있다면 직무유기다.필란드 로푸키리(Loppukiri). 지난 2000친구였던 할머니 4명이 다른 데 손 벌리지 말고 서로 도와가며 활동적으로 외롭지 않게 살아보자며 만든 공동주거단지다지금은 평균 70세 가량의 입주자 50~80명이 함께 살고 있다철칙은 서로 도움을 주고받으며 자급자족하는 것핀란드 정부와 헬싱키시도 값싼 부지를 제공하며 거들면서 제2, 3의 로푸키리가 생겼다위기가 기회가 될 수 있는 초고령사회로푸키리는 당사자들의 자립의식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 이 기사는 ‘PEOPLE365’  가을호(VOL.06)에 먼저 게재됐습니다.

장한형 기자
장한형 기자
2005년부터 시니어 전문기자, 편집국장을 거쳐 현재 24개 지역시니어신문 발행인입니다. 2007년부터 현재까지 KBS라디오 '출발멋진인생'에서 매주 월요일마다 시니어 관련 주요 이슈를 풀어 드리고 있습니다. 최근엔 시니어TV '시니어 이슈 플러스' 진행을 맡아 국내 최고 전문가들과 함께 프로그램을 제작했습니다. 지금은 지역시니어신문과 함께 '경험거래소'를 운영하며 시니어들께 일자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관련기사

댓글을 남겨주세요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여기에 이름을 입력하세요.
Captcha verification failed!
CAPTCHA user score failed. Please contact us!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