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녹색연합, 영종갯벌 조류 모니터링단 올해 활동 시작

모니터링단은 영종하늘도서관 세미나실에 모여 올해 계획과 방법을 논의하는 사전 모임을 가졌다. 모임은 박주희 인천녹색연합 사무처장, 시민과학자인 강인숙(산내음)과 함형복(나리), 그리고 모니터링 길잡이를 맡은 활동가가 함께 진행했다. 사진=서일석

인천녹색연합 영종갯벌 조류 모니터링단이 지난 13일 올해 활동을 시작했다.

모니터링단은 매년 3월부터 12월까지 영종의 동측, 남측, 서측 해안가 및 주요 습지에 찾아오는 조류를 한 달에 두 번씩 관찰하고 기록한다. 올해는 총 22명의 시민과학자들이 참여한다.

첫 모니터링에 앞서, 모니터링단은 영종하늘도서관 세미나실에 모여 올해 계획과 방법을 논의하는 사전 모임을 가졌다. 모임은 박주희 인천녹색연합 사무처장, 시민과학자인 강인숙(산내음)과 함형복(나리), 그리고 모니터링 길잡이를 맡은 활동가가 함께 진행했다.

박주희 사무처장은 영종갯벌의 생태적 가치를 알리고 매립 등의 위협으로부터 갯벌을 지키기 위해 모니터링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2022년부터 2024년까지 모니터링단의 활동 결과, 국제적으로 멸종위기에 놓인 새들이 다수 영종갯벌을 찾고 있어,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할 만한 가치가 있다는 점이 확인됐다.

강인숙과 함형복 시민과학자는 영종갯벌을 찾는 멸종위기종들의 외형적 특징, 행동 양식, 모니터링 팁을 중심으로 강의를 진행했다. 모니터링단은 검은머리갈매기, 검은머리물떼새, 노랑부리백로, 붉은어깨도요, 알락꼬리마도요, 저어새, 큰뒷부리도요 등 7개 핵심종을 중심으로 활동하는데, 이들 모두 세계적인 멸종위기종이다.

두 시민과학자는 핵심종 중심으로 종을 식별하는 방법과 함께, 현장에서의 자세도 강조했다. “내가 알고 있는 게 전부가 아니다”, “끊임없이 의심하라”, “마음으로 보라”는 조언을 통해 모니터링이 단순한 기록을 넘어서는 활동임을 전했다.

올해 모니터링단은 관찰한 새를 기록하고 공유하는 방식 외에도, 단원 스스로의 경험을 함께 기록한다. 모니터링할 때 느낀 마음과 생각을 관찰 일지 형식으로 돌아가며 쓰고 나누기로 했다. 해당 기록은 인천녹색연합 홈페이지와 SNS를 통해 공개될 예정이다.

서일석 기자
서일석 기자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시민 교육과 국가와 지방 정부의 미세먼지 저감, 기후변화 대응과 에너지 전환 정책의 계획 이행 결과 와 평가 정보를 시민들과 공유하고 있다.

관련기사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