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수학은 도대체 왜 배워야 하나요?”

[시니어신문=정은조 기자] 최근 허준이 교수의 필즈상 수상을 계기로 수학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못해 열광적이다우리나라 국민들이 이렇게도 수학에 대한 열정이 많았을까의문이다.

수학은 대학입시 과목 중 가장 많은 사교육비가 든다.

15일 통계청에 따르면, 2021년 기준 고등학생 1인당 수학 사교육비는 평균 149000원이다국어(57000)의 약 3영어(115000)보다도 많다.

이처럼 가장 많은 사교육비를 지출하면서도 수학시간에 잠을 자는 학생이 많다는 사실은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2018년 기준, OECD 국가 중 한국 학생들의 수학 학업 성취도는 남자 528, 여자 524로 각각 2, 1위다남자의 경우 우리나라보다 높은 나라는 일본(532)이 유일하다.

반면수학에 대한 자신감이나 흥미는 국제 평균 기준에 비해 매우 낮다.

언론보도를 보자국제 교육성취도 평가 협회(IEA)가 58개국 초등학생 약 33만명과 39개국의 중학생 약 25만명이 참여한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 연구에서 우리나라 초등학교 4학년생의 경우 수학에 대해 좋아하지 않는다고 답한 비율이 무려 40%국제 평균(20%)에 2배다수학에 자신감이 없다고 답한 비율도 36%로 국제 평균(23%)보다 높았다.

허준이 교수는 수상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가장 큰 문제는 학생들이 소중한 학창 시절을 공부하는 데 사용하는 게 아니라 평가받는데 사용한다는 점을 지적했다.

허 교수는 특히, “학생들이 이런 현실에 주눅 들지 말고 실수 없이 완벽하게 하는 것보다 과감하고 거침없이 자기 마음이 이끄는 대로 폭넓고 깊이 있는 공부를 하길 바란다고 주문했다.

허 교수가 지적한 대로 수학을 잘하기 위해서는 학교 수업 방식이 입시 공부와 같이 평가받는 방식이 아닌자기 마음이 가고 흥미가 가는 대로 거침없이 배울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하다는 점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한 번쯤은 아이들의 이런 질문을 접한다. “왜 우리는 어렵고 힘든 수학을 배워야 하나요?” 어른들의 대답은 자신 없다.

전문가들의 의견을 따라 이렇게 답해보는 것은 어떨까.

첫째수학은 창의적이고 분석적인 두뇌 계발에 꼭 필요한 학문이다수학을 이해하고 논리적인 해결책에 도달할 수 있다면 실제 문제가 생겼을 때최상의 논리를 찾고 가능한 해법을 찾아 결론에 도달할 수 있다.

둘째수학은 실생활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학문이다집을 살 때대출이자율을 비교할 때 유용하다수학이 없었다면 컴퓨터와 소셜미디어(SNS)도 없었을 것이다.

우리가 왜 미적분을 공부해야 할까미적분은 나로호와 같은 우주선인공위성을 띄우는 데 없어서는 안 될 핵심 학문이다물체의 낙하기계 작동과 유체 흐름기체의 팽창전기와 자기력의 활동전염병의 확산기상 예측부터 주식시장 분석에 이르기까지 그 밑바탕은 미적분이다.

셋째수학은 문제 해결의 명확성과 과정을 중시하는 학문이다영화 이상한 나라의 수학자에 다음과 같은 대사가 나온다.

답을 내는 것도 중요하지만질문이 무엇인지 아는 것이 더 중요하다왜냐하면 틀린 질문에서는 옳은 답이 안 나오기 때문이다그러므로 답을 맞히는 것보다답을 찾는 과정이 중요하다그것이 수학이다.”

네 번째수학은 보편적인 언어예를 들어보자, 1+1=2의 간단한 산술은 전 세계적으로 동일하다어느 나라에서나 1에 1을 더하면 2가 된다는 보편적인 언어로 수학을 배운다.

스터디카페에서 만난 고등학생들에게 미적분확률삼각함수를 왜 공부하냐고 물었다아이들의 대답은 한결같다. “대학입시에서 높은 등급을 받기 위해서란다과연 이 대답이 정답이 될 수 있을까우리 아이들이 우주공학을 전공하려고빅데이터를 공부하기 위해물리학자가 꿈이라서 수학을 공부한다고 대답하는 날그날이 오기를 고대한다.

관련기사

댓글을 남겨주세요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여기에 이름을 입력하세요.
Captcha verification failed!
CAPTCHA user score failed. Please contact us!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