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계 위해 일하는 고령자, 고용상태는 최악…노동자 아닌 ‘적선’ 대상

[시니어신문=김지선 기자] 노인실태조사 결과일하는 노인 10명 중 7(73.9%)은 여전히 현재 일하는 이유로 생계비 마련을 꼽았다국민연금이나 기초연금과 같은 공적연금만으로 노후소득보장이 이뤄지지 않는다는 것을 시사한다농촌에 거주하는 노인(79.9%)과 독거노인(78.2%)에서 이런 답변이 많았다.

반면대부분의 노인가구가 부동산을 소유한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다노인가구 96.6%가 부동산을 갖고 있고평균 금액은 26182만원에 달했다또 노인 10명 중 8(79.8%)이 본인 소유 주택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조사 결과는우리나라 노인의 자산이 현재 살고 있는 집 한 채에 불과하고그렇기 때문에 별다른 소득이 없는 상황에서 일을 해서 생계를 잇고 있다는 점을 말해준다.

하지만고령자들은 일터에서 노동자로서 제대로 된 대우를 받기 어렵다고령 노동자에 대한 시장의 수요보다일하고 싶은 고령노동자 공급이 훨씬 더 많기 때문이다고령 노동자를 법의 테두리 안에서 보호할 수 있는 사회적 관심과 제도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나이 들수록 최저임금 못 받는 경우 급증

고령 노동자에 대한 부당한 대우는 70대 청소노동자들이 노년아르바이트 노동조합’ 이른바, ‘노년알바노조를 만들도록 내몰았다노년알바노조는 청년유니온(2010), 노년유니온(2013), 전국시니어노조(2014)에 이어 특정 연령층 노동자를 대변하는 또 하나의 세대별 노조가 됐다.

우리나라는 고령 노동자들을 노동자로 인식하고 제대로 대우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노동조합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일을 하는 데도 빈곤을 벗어나지 못하는 상황이는 고령자의 고용이 주변부 노동시장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란 지적이다. 2014년 기준법정 최저임금에 미달하는 노동자는 전체 임금노동자의 12%하지만, 55세 이상 고령 노동자의 경우 30%로 증가한다게다가 60세 이상 노동자 10명 중 7(68%)은 비정규직 노동자다.

평등노동자회가 2017년부터 고령노동자들의 노동실태를 조사한 결과최저임금을 주지 않거나 일하다 다쳐도 산재 신청을 하지 않는다는 조항을 근로계약서에 넣는 관행이 만연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년알바노조 허영구 공동준비위원장은 고용주들은 노년 노동자들을 만만한 인력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면서, “근로계약 상대가 아닌시혜나 적선의 대상으로 보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고령 노동자 10명 중 4최저임금 이하

고령 노동자 10명 중 4명은 최저임금을 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년알바노조준비위원회와 평등노동자회는 지난해 5월 18일부터 6월 18일까지 1개월 동안 전국 65세 이상 기초연금 수급 대상이면서 일하는 노인 4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최저임금 실태를 발표했다.

이들 단체에 따르면청소노동자(13)의 평균 나이는 69.3, 70대가 절반을 넘는다하루 평균 노동시간은 6.8시간평균 시급은 올해 법정 시급 8720원에 383원 부족한 8337원이었다시급이 가장 낮은 경우 6028원에 불과했다최저임금보다 2692원 덜 받았다고령의 청소노동자들은 평균 10명 중 4명이 최저임금을 받지 못하고 있었다.

현재 받고 있는 월급을 하루 8시간 기준으로 환산하면 법정 최저시급 8720원의 81.5%인 7107원으로, 1613원이 부족했다월 평균 임금은 1482308원으로올해 법정 최저임금 월 1822480원보다 34172원이 부족했다. 10명 중 9명은 하루 근무시간이 6~7시간이다.

휴게시간 늘이거나 노동강도 높이는 꼼수

고령 노동자들에게 최저임금을 지급하지 않으려는 방법으로 휴게시간을 늘이는 경우가 많고정해진 시간에 더 많은 일을 하도록 강요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 단체는 휴게시간을 늘리거나 노동강도를 높여 법정 최저임금 위반을 피하기 위한 의도로 보인다, “최저임금을 결정하는 노사정 최저임금위원회에 참여하고 있는 사용자(경총측이 합의문에 시급(8720)’만 표시하고 월급(1822480)’를 명기하지 말자고 주장하는 이유이기도 하다고 했다월급을 표시하면 결과적으로 최저임금 시급을 준수해야 하기 때문이다.

하루 3시간 일하는 단시간 노동의 경우 3명 중 1명이 최저임금에 미달했다주말 하루 1곳 당 2시간씩 3곳을 이동하며 청소하는 노동자의 경우본인의 하루 근무시간은 이동시간을 포함해 8시간이 넘지만 임금은 6시간분만 받았다실질적으로 최저임금에 미달한다 게 이들 단체의 설명이다.

70, 6개월 미만 단기계약직 강요

70대의 경우 50~60대와 달리 고용계약 기간을 6개월 미만으로 정해 차별 당하는 경우도 있었다.

일례로돌봄노동자 중 간병인의 경우 나이는 72세였고노동의 특성상 환자와 숙식을 병행해야 했다밤낮없이 돌봄을 제공하기 때문에 하루 종일 근무와 대기가 지속되는 상황이었다하지만이 70대 돌봄노동자가 받는 월급을 시급으로 환산하면 5000원에도 미치지 못했다.

청소노동자나 돌봄노동자 뿐만이 아니다.

경비노동자 15명의 평균 나이는 70.1세였고최고령자는 77세였다전체 응답자의 근무시간 대비 평균 시급은 6346원이었고, 10명 중 5.3명이 법정 최저시급 이하였다이들은 대부분 24시간 맞교대(하루 평균 12시간)로 일하는 경우가 많은데근무시간 가운데 많게는 3분의 1을 휴게시간으로 정해 최저임금 위반을 피하고 있었다.

최저임금 준수 감독 등 제도개선 절실

노년알바노조준비위원회와 평등노동자회는 지금까지의 논의는 최저임금 인상 금액에만 집중됐고불법에 대해선 방치돼 왔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와 최저임금위원회는 노년노동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금액에 대한 협상과 더불어 생계가 가능한 최저임금 준수최저임금 인상을 이유로 한 근무조건 후퇴를 적극적으로 규제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더 나아가 근본적인 제도개선을 요구했다평등노동자회는 노년 노동자들이 할 수 있는 일자리는 주로 파트타임이 많고 월급도 고용도 불안정하다노동자 스스로도 알바식으로 일하고 있다고 말하며노동환경도 말 그대로 알바식이다라고 밝혔다.

평등노동자회는 노년알바노동에 있어선 우선 세밀한 실태파악 부터 필요하다. 3년에 한 번 하는 노인실태조사는 너무 포괄적이라 노년세대가 얼마나 일하는지 정도를 알 수 있을 뿐어떤 일들을 겪고 있는지는 알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고령자고용촉진대책은 퇴직 연령을 높이는 문제를 주요하게 다룰 뿐 퇴직 이후에도 일손을 놓지 못하는 노동자의 현실은 사실상 다루지 않고 있다, “청소년 아르바이트 사업장에 대한 정기적인 근로감독을 실시하듯 고령노동자들이 일하는 사업장에 대한 지속적인 근로감독이 필요하다고 했다.

특히, “더불어 평생을 불안정한 노동을 감내해 온 그들에게 이젠 그런 노동을 거부할 권리도 보장해야 한다, “국민연금 개혁기초연금의 보편화와 현실화가 시급히 필요하다고 했다.

장한형 기자
장한형 기자
2005년부터 시니어 전문기자, 편집국장을 거쳐 현재 시니어신문을 발행하고 있습니다. 2007년부터 현재까지 KBS라디오 '출발멋진인생'에서 매주 월요일마다 시니어 관련 주요 이슈를 풀어 드리고 있습니다. 최근엔 시니어TV '시니어 이슈 플러스' 진행을 맡아 국내 최고 전문가들과 함께 프로그램을 제작했습니다. 지금은 '경험거래소'를 운영하며 시니어들께 일자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관련기사

댓글을 남겨주세요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여기에 이름을 입력하세요.
Captcha verification failed!
CAPTCHA user score failed. Please contact us!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