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가입상한연령 59세→60세 이상 연장해야”

[시니어신문=장한형 기자] 최근 국민연금이 주요 이슈로 떠올랐다우선사상 처음으로 1인 가구 기준 국민연금 수령액이 최저생계비를 넘어섰다이제 국민연금만 받아도 최소한의 생계는 유지할 수 있게 됐다는 뜻이다.

그런가 하면국책연구기관이 현재 59세까지만 의무적으로 가입하도록 한 국민연금 가입상한연령을 60세 이상으로 연장해야 한다는 연구보고서를 냈다현행 제도에서는 가입종료 시점부터 연금을 받기까지 최대 5년의 소득공백이 발생하기 때문에 가입종료와 동시에 수급개시로 이어지는 공적연금의 기본 원칙에 위배된다는 지적이다국민연금에 조금이라도 더 기여하고 더 많은 금액을 받을 수 있도록 하자는 논리다.

특히기대수명이 늘어나고 60대에도 활발하게 일하는 등 고령자들을 둘러싼 사회경제적·문화적 제반 환경들이 크게 바뀐 상황에서 1998년 결정한 가입상한연령을 20여년이 지난 시점에서 계속 유지하는 것이 옳은지 사회적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국민연금 1인당 평균 수령액 최저생계비 추월

국민연금 1인당 평균 수령액이 최저생계비를 넘어섰다.

국민연금공단에 따르면 올해 4월 기준 가입자 1인당 월평균 국민연금 수령액은 549430원이다올해 1인 가구 최저생계비 548349원을 사상 처음 넘어섰다.

국민연금공단의 2020년 국민연금 지급 통계 현황에 따르면지난해 국민연금 수령액 중 최고액은 한 달에 약 227만원으로 나타났다누적으로 가장 많은 금액을 수령한 수급자는 총 2187만원을 지급받았다.

우리나라 국민연금제도는 1988년 도입됐고올해로 33년째다. 20년 이상 가입한 경우 월소득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월 90만원 이상 받는다실제로 국민연금 통계에서 20년 이상 수급자들의 월평균 수령액은 93만원이다납입기간이 30년 이상이면 월평균 136만원을 받는다연금수령시기를 62세에서 최장 5년을 미루면 월 수령액은 200만원을 넘는다.

2020년 한 해 동안 559만명에게 256500억원의 국민연금을 지급했다.

국민연금 고갈해묵은 과제

국민연금의 가장 큰 문제는 모아 놓은 연금이 고갈될 것이란 지적이다매월 소득의 9%를 보험료로 내고노후에 생애소득의 40%를 받는 덜 내고 더 받는’ 구조로 설계됐기 때문이다앞으로 36년 뒤인 2057년 연금이 고갈될 것이란 예측이 나온다.

이미 1990년대 연금고갈을 경험한 선진국들은 노년층의 연금을 젊은세대가 부담하고 있다이에 따라우리나라도 더 내고 덜 받는’ 구조로 개편해야 젊은세대의 부담을 줄이고국민연금을 지속할 수 있다는 지적이 끊임없이 나온다하지만역대 어느 정부도 이 민감한 문제에 손대지 않고 있다돈을 더 내야 하는 인기없는 정책이기 때문이다.

이번 정부에서도 사회적 대화기구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가 국회에 국민연금 개혁안을 냈지만 논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자 2019년 8월 연금개혁 추진을 아예 중단해버렸다결국국민연금개혁이란 중차대한 문제는 차기 정부의 몫이 됐다.

보사연, “가입상한연령 59세→60세 이상 연장해야

국책연구기관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국민연금개혁의 일환으로 가입상한연령을 현행 59세에서 60세 이상으로 연장해야 한다는 연구보고서를 냈다.

보건사회연구원에 따르면, 1998년 제1차 국민연금 개혁에 따라 수급개시연령은 61세부터 시작해 1969년 이후 출생자는 65세부터 노령연금을 받는 것으로 연장됐으나 가입상한연령은 여전히 59세에 머물러 있어 가입종료와 수급개시 사이에 최대 5년의 공백이 유지되고 있다.

보사연은 은퇴 후 연금 수급개시까지 급격한 소득단절(crevasse)이 발생하는 중이라며, “이는 생계유지를 목적으로 고령자들이 노동시장에 더 오래 머물게 하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고 지적했다.

최근 노동시장정책은 고령자들이 이전보다 오래더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드는 방향으로 가고 있고, 65세로 정년을 연장하거나 70세까지 고용보험 가입을 허용하는 방안들이 검토되고 있다국민연금은 59세까지만 가입하고 65세가 됐을 때 받으라는 정책은 시대변화에 맞지 않다는 지적이다.

60세 이상 경제활동 큰 폭 증가

보건사회연구원이 국민연금 가입상한연령을 올리자고 주장한 첫째 이유는 60대의 경제활동이 큰 폭으로 늘어났다는 점이다.

전반적으로 60세 이상 고령인구의 경제활동참가율은 지난 10년 동안 큰 폭으로 증가했고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증가 폭은 더욱 커졌다.

60~64세 취업자 가운데 상용직 임금근로자 비율은 2005년 11.5%에서 2020년 33.3%로 3배 가까이 증가했다또한주당 근로시간이 15시간 미만인 단시간 근로자 비율은 정규직에서는 감소한 반면 비정규직에서는 매년 소폭 증가하는 추이를 나타내며 일하는 시간도 늘어났다.

60~64세 고령자 가운데 상용직 임금근로자로 노동시장에서 제법 안정적인 지위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 가입상한연령을 연장하게 되면 이미 상당한 가입기간을 확보한 상태에서 훨씬 유리하게 작용하게 된다.

연금 수급자와 비수급자 모두 종사상 지위를 막론하고 생계유지를 위해’ 장래에도 근로를 계속하고 싶다는 뜻을 갖고 있는 만큼 60~64세 고령자 집단의 노동시장 참여 특성을 더욱 정교하게 관찰해 가입상한연령 연장 가능성을 진단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의무가입 종료 즉시 연금 받아야

보건사회연구원이 국민연금 가입상한연령을 늘리자고 주장하는 두 번째 이유는 소득공백이 발생하고 있다는 점이다. 59세에서 의무가입기간이 종료되면 국민연금을 받기까지 최대 5년의 소득공백 기간이 발생한다.

국민연금은 60세 이후 임의계속가입보험료 추후 납부제도 등 부족한 가입기간을 자발적으로 확대할 수 있는 한시적’ 조치들이 있다하지만이 조치들은 의무가입이 종료된 이후 수급개시시점까지 간극을 메우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으로 보기 어렵다.

59세 이후 국민연금 의무가입 배제는 가입종료와 동시에 수급이 시작되는 공적연금의 기본 원칙에 위배된다따라서 제도 개선의 당위성을 갖고 있지만 구체적인 결정은 계속 미뤄지고 있다.

우리보다 앞서 연금개혁을 실시한 서구 국가들은 대체로 가입상한연령이 수급개시연령과 일치하거나 더 높게 설정돼 있다독일이탈리아스위스네덜란드영국은 수급개시연령 직전까지 의무적으로 가입하는 경우다가입상한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 국가는 미국오스트리아스웨덴이다오스트리아는 근로소득 발생 시 공적연금이 자동으로 적용된다수급개시연령 이후에도 시간제로 일하면서 적은 액수라도 소득이 발생하면 보험료를 납부할 의무가 발생한다.

보건사회연구원은 지금으로부터 20여 년 전에 이뤄진 정책 결정의 잣대가 현시점에서도 그대로 유효한지를 다시 판단해야 할 만큼 사회경제적문화적 제반 여건이 크게 바뀌었다면서, “가입상한연령의 연장을 정책결정의 장()에 올리는 것이 이제는 시기상조가 아니다고 강조했다.

장한형 기자
장한형 기자
2005년부터 시니어 전문기자, 편집국장을 거쳐 현재 24개 지역시니어신문 발행인입니다. 2007년부터 현재까지 KBS라디오 '출발멋진인생'에서 매주 월요일마다 시니어 관련 주요 이슈를 풀어 드리고 있습니다. 최근엔 시니어TV '시니어 이슈 플러스' 진행을 맡아 국내 최고 전문가들과 함께 프로그램을 제작했습니다. 지금은 지역시니어신문과 함께 '경험거래소'를 운영하며 시니어들께 일자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관련기사

댓글을 남겨주세요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여기에 이름을 입력하세요.
Captcha verification failed!
CAPTCHA user score failed. Please contact us!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