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조사 이래 첫 인구 감소…인구위기 본격 시작

[시니어신문=이길상 기자] 우리나라 인구가 1949년 인구조사를 실시한 이래 처음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출산고령화로 인해 생산연령인구는 34만4000명 줄었지만, 오히려 고령인구는 41만9000명이 늘었다. 인구위기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으로 해석된다.

통계청은 28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21년 인구주택총조사(전수) 결과’를 발표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1년 11월 1일 기준 대한민국 영토 내 거주하는 총인구는 5173만8000명으로 전년 대비 9만1000명 감소했다. 인구성장률은 -0.2%로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실시된 1949년 센서스 이후 처음으로 인구가 감소했다.

2021년 현재 내국인은 총 5008만8000명, 전년 대비 약 4만5000명 감소했다. 외국인은 165만 명으로 약 4만6000명 감소했다. 국적별로는 외국인 중 중국인과 태국인이 많이 감소했다.

연령별 인구를 보면 15~64세 생산연령인구가 3694만4000명으로 총인구의 71.4%를 차지했다.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총인구의 16.8%, 0~14세 유소년인구가 11.8%를 구성하고 있다.

전년대비 유소년인구는 16만7000명, 생산연령인구는 34만4000명 줄었지만, 반대로 고령인구는 41만9000명 늘었다. 생산연령인구가 가장 많았던 2016년에 비해 2021년의 생산연령인구는 약 67만7000명 줄었다.

유소년인구 100명당 고령자 인구수를 의미하는 노령화지수는 143명으로 전년대비 10.5명 증가했다. 유소년인구와 고령인구 비율이 동일했던 2016년 노령화지수 100명에 비해 2021년에는 노령화지수가 43명 더 늘어났다. 시도별로는 전남이 210명으로 가장 높고, 세종이 49.9명으로 가장 낮았다.

시군구 간 노령화지수 격차는 더욱 커지고 있다. 경북 군위군의 경우 유소년인구 100명당 노인이 880명인 반면, 경기 화성시는 51명으로 시군구 간 노령화지수 격차가 최대 17배 이상 벌어지고 있다.

정부는 경제활동인구 확대를 위해 고령자 계속 고용을 위한 사회적 논의를 추진하고, 저출산 문제 대응을 위해 내년 1월부터 부모급여를 단계적으로 늘리기로 했다. 7월 이후 분야별 인구대응 대책을 순차적으로 발표한다는 계획이다.

관련기사

댓글을 남겨주세요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여기에 이름을 입력하세요.
Captcha verification failed!
CAPTCHA user score failed. Please contact us!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