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잡노마드 시대(4) 자동화, 702개 업종 330개 직업 소멸

[시니어신문=장한형 기자] 직업세계의 변화가 이미 시작됐습니다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의 변화는 고령생산인구의 증가현상을 불러오고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사라지는 직업이 있는가하면 새롭게 등장하는 직업들도 있습니다휴대폰과 노트북 등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유연근무체제시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일하는 잡 노마드가 등장하고 있습니다숨 가쁘게 변화하는 직업세계 속에서 100세 시대를 살아야할 중장년의 정년퇴직 이후 경력개발은 이제 선택이 아닌필수과제가 됐습니다미래의 직업 세계 변화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5회에 걸쳐 알아봅니다.

2013년 영국 옥스퍼드대학의 마이클 오스본 교수와 칼 베네딕트 플라이 연구원(Carl Benedikt Frey&Mi chael A. Osborne)은 ‘10년 후 사라질 직업없어질 일’ 702개 업종을 분석하고 그 가운데 47%가 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인간이 할 일의 절반을 기계에 빼앗길 수 있다는 논문 고용의 미래우리의 직업은 컴퓨터화에 얼마나 민감한가?’(The Future employment : How susceptible ar e jobs to computerisation?)를 발표해 세계적으로 화제가 됐다.

이 논문은 702개 업종에 대해 컴퓨터로 대체될 확률을 자세하게 계산하고 있으며그 결과 앞으로 사라지는 직업없어질 일을 제시하고 있다즉 컴퓨터에 의한 기술혁신이 빠르게 진행돼 지금까지 인간만이 할 수 있다고 생각했던 일들이 로봇과 같은 기계로 대체되고 있는 현실을 일깨운다.

오스본 교수는 미국 노동성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향후 10~20년 후에는 미국에서 702개 직종총 고용자의 47%가 하던 일이 자동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오늘날 단순 반복적인 작업을 요하는 일은 결국 사라져 실업자로 전락하게 될 것이고창의적·창조적인 직업만이 지속가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예를 들어운전자가 필요 없는 자동차가 나오면 버스나 택시기사 없어지고추돌사고를 피하기 위한 자동차 센서가 상용화되면 자동차 수리업자도 줄어들 것이란 예언이다이미 식당 웨이터주유소 주유원 등은 로봇으로 대체되고 있다.

미래에 사라질 가능성이 가장 높은 직업은 텔레마케터와 화물·창고 관련 업무 종사자다그리고스포츠 경기 심판원계산원호텔·병원 등의 접수원자동차엔지니어회계감사원보험판매원 등의 순이다.

미래에 사라질 가능성이 낮은 직업으로는 멀티미디어 아티스트·애니메이터세일즈매니저생명과학자운동트레이너컴퓨터시스템 분석가초등학교 교사심리학자외과·내과의사 등으로 나타났다.

50대 생산가능인구, 전체의 4분의 1

출산감소고령화 사회의 진입 등 다양한 요인들로 인해 장년층의 생산가능인구가 증가하고이런 인구구조의 변화와 산업기술의 발달로 말미암아 장년층 고용과 취업이 핵심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장년층이란 사전적인 의미로는 사회 구성원 가운데 장년기(30~40)에 있는 사람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지만고용노동부가 의미하는 장년층은 50세 이상 취업자 및 미취업자를 말한다대부분 자신의 주요 생애일자리에서 퇴직을 경험하고 제2기 일자리로 전환하는 연령층을 장년층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총인구와 생산가능인구 추계를 살펴보면 생산가능인구는 2016년 37039000명을 정점으로 계속 감소하며, 2024년 50~64세의 생산가능인구는 12635000명으로 크게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이후 2040년까지 1000만명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30년 우리나라 총인구는 5216만명으로 예상된다따라서 50~64세 생산가능인구는 전체 인구의 4분의 가량이 될 전망이다.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4년 전체 인구의 62.4%가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이 가운데 50대의 경제활동참가율은 75.9%이며, 60세 이상은 39.9%였다.

50대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2000년 68.7%에서 점차 늘어나 2006년에 70.1%로 70%를 넘 어 섰 고, 2010년 72.7%, 2012년 73.8%, 2013년 74.5% 등 매년 증가하고 있다. 60세 이상의 참가율은 2000년 38.2%에서 2003년 36.6%로 낮아졌다가 2013년 39.1%로 다시 높아졌지만, 36~40% 사이에 머물고 있다.

고령화노동시장 구조적 문제 야기

2010년 8월 기준 임금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을 조사한 결과 45~47세를 정점으로 서서히 낮아져 50대 말부터는 급격히 하락했다남성의 경우 46세에 평균 2934000원으로 최고를 기록했고, 58세의 임금은 2278000, 61세 2049000, 63세 이상 151만원으로 급격히 낮아진다.

최근 세계 과학기술의 핵심 키워드는 빅데이터, 3D프린터사물인터넷인공지능핀테크스마트 프로덕트로봇화 등으로 요약된다.

과거 노동집약적 생산에서 기계화자동화를 통한 자본집약적 생산방식으로 눈부시게 변화발전하고 있다. ‘기술발전이란 y축과 생산가능인구의 감소란 x축을 중심으로 기계자동화는 이와 정비례 관계를 유지하며 성장하고 있다.

저출산으로 인한 생산인구의 감소고령화사회의 진입으로 인한 중장년의 재취업그리고 기계화·자동화로 인한 일자리 축소 등은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구조적인 문제점을 야기한다.

노동 시장의 구조적인 문제점으로는 크게 4가지를 꼽을 수 있다.

첫째양질의 일자리 부족이다. 15~64세의 생산가능인구 고용현황을 살펴보면 15~24세 연령대의 고용률이 선진국 상위 13개국 평균 53.5%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23.1%를 보이고 있다중장년의 경우 선진국 83.6%보다 10% 정도 낮은 73.2%를 보이고 있으나우리나라 전체적으로 봤을 때는 꽤 높은 고용률을 나타내고 있다여성 고용률은 선진국의 69.1%에 비해 매주 낮은 53.1%.

둘째저출산·고령화로 핵심 노동인구가 부족하다는 점이다.

핵심노동인구는 25~49세의 연령대로 2010년 61.5%를 기록했으나 2020년에는 53.6%로 낮아지고 2030년에는 48.8%로 더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셋째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임금 격차의 지속이다대기업중소기업의 노동생산성 격차가 더욱 벌어질 것으로 예상되며노동생산성 격차의 심화는 곧바로 대중소기업 임금격차로 나타날 것이다.

넷째고학력화로 인한 노동시장 진입 연령의 상승이다우리나라 노동시장 진입 연령은 2006년 22.9세였으나 2008년에는 23.1, 2012년엔 23.4세로 높아지고 있다이는 71%에 달하는 대학 진학률과 깊은 관계가 있다.

직업의 소멸과 탄생다양한 양상

과학기술의 발달과 고령화 등 다양한 요인들로 인해 직업세계도 변화하고 있다직업세계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크게 4가지로 분석된다.

첫째저출산·고령화단독가구 및 다문화 가정의 증가라이프스타일의 변화에 의한 인구구조와 가치관의 변화다둘째지구 온난화석유 등 자원의 고갈 등으로 인한 환경과 부존자원의 변화다셋째기계화와 자동화정보화 및 인터넷 발달융복합화녹색 경제 및 기술 등 과학기술과 산업발전에 의한 다양한 요인들의 상호작용이다넷째경영전략의 변화새로운 제도(정부정책)의 시행녹색경제의 성장 등으로 인한 글로벌화와 경영환경의 변화다.

이러한 요인들이 상호작용에 의해 직업소멸과 일자리 감소새로운 직종의 탄생직업의 세분화와 융합화네트워크 조직의 증가고급기능직 수요와 노동이동의 증가 등 수많은 변화의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어생산의 자동화와 기계화의 가속은 기능원(엔지니어)을 감소시키는 대신 장치·기계조작 및 조립종사자를 요구할 것이다엔지니어는 주로 50대 이하의 젊은층 인력이며장치·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는 단순 업무를 담당하는 인력이므로 50대 이상 중장년층으로 대체된다는 것이다그리고 자동화는 모바일 워크를 통해 재택이나 원격근무를 가능케 한다.

장한형 기자
장한형 기자
2005년부터 시니어 전문기자, 편집국장을 거쳐 현재 24개 지역시니어신문 발행인입니다. 2007년부터 현재까지 KBS라디오 '출발멋진인생'에서 매주 월요일마다 시니어 관련 주요 이슈를 풀어 드리고 있습니다. 최근엔 시니어TV '시니어 이슈 플러스' 진행을 맡아 국내 최고 전문가들과 함께 프로그램을 제작했습니다. 지금은 지역시니어신문과 함께 '경험거래소'를 운영하며 시니어들께 일자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관련기사

댓글을 남겨주세요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여기에 이름을 입력하세요.
Captcha verification failed!
CAPTCHA user score failed. Please contact us!

인기기사